자동차안전연구원 자동차 결함신고센터 바로가기

우리나라 자동차등록대수는 1,800만대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관심도는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며 소비자는 늘 안전하고 결함없는 자동차를 구입하고 싶어 합니다. 그럼에도 운행중에 타이어 펑크나 예상치 못한 자동차 결함이 발생하여 놀라게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동차 결함 증상이 발견되면 시정을 통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자동차 안전에 대해 사전에 알고 예방을 할 수 있을까요? 지금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는 안전과 관련있는 교통수단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신고 기관인 자동차 결함신고센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관리법에 의해 자동차가 운행중에 안전에 위협을 주는 경우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조사를 하여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동차 안전연구원 자동차 결함신고센터 이용방법 및 바로가기를 알려드립니다. 홈페이지 하단에 자동차 안전연구원 자동차 결함신고센터 바로가기가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자동차안전연구원 자동차 결함신고센터 바로가기

 

네이버, 다음, 구글 등 평소 이용하는 홈페이지에 자동차리콜센터를 검색합니다. 간단하게 검색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근하면 대외적으로 알려진 리콜 대상 자동차도 자동차리콜센터(자동차안전연구원 자동차 결함신고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콜대상차량 확인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리콜 대상 자동차를 찾기 쉽게 홈페이지에 접근하자마자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https://www.car.go.kr/home/main.do 접근후 홈페이지 첫화면에 자동차등록번호 또는 차대번호 입력후 검색시 바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리콜대상차량 확인 외에도 자동차리콜센터에서는 리콜대상 확인과 아래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결함신고
  2. 리콜불만신고
  3. 온라인상담
  4. 무상점검 및 수리
  5. 리콜센터소개

 

결함신고란 자동차가 안전에 위협되는 현상이 발견되었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등 결함을 발견했을 때 신고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온라인으로 신청도 되고 전화로도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전화신청방법 모두 알려드립니다.

 

 

온라인 결함신고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핸드폰, PC, 태블릿 등에서 간단하게 신고 가능합니다.

 

  • 결함신고 페이지 https://www.car.go.kr/ds/dfct/gdnc.do 에 접근합니다. 지금 보이는 url을 터치해서 접근시 빠른 방법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직접 검색해도 되고 간편한 방법으로 이용 바랍니다.
  • 결함신고 동의 후 신고를 합니다.

 

 

전화 연결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전화로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 고객센터(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를 이용 바랍니다. 간혹 온라인으로 접수하는 방법이 더 간편한 방법이 아닌지 문의하는 경우가 있는데 맞습니다. 자동차 리콜센터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가 더 간편합니다.

 

자동차결함 고객센터

080-357-2500

자동차리콜센터 바로가기

 

결함 신고시 리콜에 해당하는 현상과 리콜에 해당하지 않는 현상으로 구분이 됩니다. 리콜에 해당하지 않는 현상의 경우라도 무상수리가 실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결함 신고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리콜 실시 이전 해당 부품을 자비로 처리한 경우에는 최근 1년이내 본인비용으로 수리한 증빙서류가 있으면 제작자에게 청구 가능합니다.

 

  • 자동차 점검, 정비 내역서
  • 세금계산서 또는 영수증 신용카드 매출전표
  • 자동차등록증
  • 신분증 및 입금 통장 사본

 

 

119안심콜 신청방법 총정리 – 간편, 신속